약국에서 지역화폐로 결제된 매출을 어떻게 조회하고 세무 신고해야 하나요?

    2025. 7. 16.

    약국에서 지역화폐로 결제된 매출은 결제 방식에 따라 조회 및 신고 방법이 달라집니다. 정확한 세무 신고를 위해서는 각 결제 수단별 매출 내역을 확인하고, 부가가치세 신고 시 '직불전자지급 수단 및 기명식선불 전자지급수단' 매출로 분류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 제로페이 홈페이지 활용: 로그인 후 '결제관리' → '결제통계'에서 기간을 설정하여 조회하고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이버페이, SSG PAY, 페이코 등 다양한 Pay 결제 내역도 확인 가능합니다.
    • 카카오페이 등 별도 조회: 제로페이에서 확인되지 않는 결제 수단은 해당 결제 서비스의 가맹점 관리 시스템을 통해 개별적으로 조회해야 합니다.
    • 지역화폐 및 지역사랑상품권: 카드형 지역화폐는 홈택스에서 카드 매출로 확인 가능하며, 모바일형(전자결제) 지역화폐는 가맹점 관리 앱을 통해 결제 총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모바일형 지역화폐 중 현금영수증이 자동 발급되지 않는 경우,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Pay 결제 후 현금영수증을 중복 발급하면 매출이 이중으로 잡힐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또한, 조제약 매출(비과세)과 일반약 매출(과세)을 정확히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화폐 결제 시 조제 매출 본인부담금이 과세 매출로 잘못 신고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세무 신고 시에는 청구 프로그램이나 장부에 기록하여 근거를 입증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약국에서 조제약과 일반약 매출을 구분하여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부가가치세 신고 시 '직불전자지급 수단 및 기명식선불 전자지급수단' 매출은 어떤 항목을 포함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