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결제한 시점을 기준으로 매출을 인식하는 것은 일반적인 회계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매출 인식은 재화나 용역의 제공이 완료되고 수익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으며,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높을 때 이루어집니다.
기업회계기준: 재화의 인도 또는 용역 제공 등 수익 창출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수익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으며,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높을 때 매출을 인식합니다. 특히 재화 판매의 경우 재화의 위험과 효익이 구매자에게 이전되었을 때 매출로 인식하며, 용역 제공의 경우 진행률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법인세법: 권리의무확정주의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재화를 인도한 날을 수익 인식 시점으로 봅니다. 기업회계기준과 대부분 일치하지만, 일부 특별한 항목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 시기에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합니다. 이는 회계상 매출 인식 시점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수금을 받은 경우 재화 인도 전에도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