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자산의 잔존가치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2025. 7. 20.
고정자산의 잔존가치란 자산의 내용연수가 끝나는 시점에 남아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으로 처리되지 않고 남는 금액으로, 주로 자산의 처분 시 예상되는 가치를 추정한 것입니다.
- 개념: 고정자산이 사용 가능한 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남아있는 자산적 가치를 말합니다.
- 감가상각과의 관계: 감가상각 계산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한 금액이 감가상각 대상 금액이 됩니다.
- 예시: 자동차의 경우, 신차를 일정 기간 사용한 후 예상되는 중고차 가치를 품질, 상품성, 브랜드 인지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 것이 잔존가치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1,100만 원에 구매한 자동차의 내용연수 10년 후 폐차 시 부품을 팔아 100만 원을 얻을 수 있다면, 이 100만 원이 잔존가치가 됩니다.
- 세법상 잔존가액: 세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잔존가액을 0원으로 보지만, 정률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취득가액의 5%를 잔존가액으로 하여 계산하기도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감가상각이란 무엇인가요?
잔존가치가 감가상각 계산에 어떻게 활용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