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신고 여부에 따라 양도소득세, 증여세, 취득세 등 다양한 세금 항목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세금 항목별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적용 시 혼인으로 인해 2주택자가 되는 경우, 혼인일로부터 5년 이내에 먼저 양도하는 주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2년 보유 및 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혼인신고를 미루고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혼인합가 특례를 통해 양도 순서에 상관없이 비과세를 받을 수 있고 기간도 5년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혼인 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부가 각각 독립된 세대로 간주되어 증여 시 공제 한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혼인 신고를 하면 배우자 간 증여 시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정보에 제시된 1.5억원은 과거 기준일 수 있으므로 최신 공제 한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득세: 신혼부부의 경우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혼인 신고를 통해 세대 합산 시 이러한 혜택 적용 여부 및 감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혼인신고는 세금 측면에서 유리하거나 불리한 영향을 모두 줄 수 있으므로, 개인의 상황에 맞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