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강좌 교육사업 시 면세사업자 적용 기준은 무엇인가요?

    2025. 11. 5.

    유튜브 강좌 교육 사업을 운영하시는 경우, 면세사업자 적용 기준은 사업의 형태와 수익 발생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론적으로, 물적 시설 없이 독립된 자격으로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그 성과에 따라 대가를 받는 경우 부가가치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자 등록 시 업종 코드 선택 및 과세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면세 적용 가능성: 개인 사업자가 주소지에서 물적 시설 없이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고 인터넷 개인 방송 용역(온라인 강의 포함)을 제공하며 그 성과에 따라 대가를 받는 경우,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부가가치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면세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2. 과세사업자 전환: 만약 사업자 등록 시 업종 코드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921505) 등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하고, 인적 또는 물적 시설을 갖추어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과세사업자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발생하며, 상반기와 하반기에 걸쳐 2회 신고해야 합니다.
    3. 겸영사업자: 과세 사업과 면세 사업을 동시에 운영하는 경우, 겸영사업자로 등록해야 합니다. 이 경우 면세 매출을 포함하여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게 됩니다.
    4. 강의 활동의 지속성: 강의 활동이 일시적이라면 기존 업종 코드(예: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의 매출로 신고해도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강의 활동을 병행할 계획이라면, 별도의 업종 코드를 추가하고 과세사업자로 전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수회계법인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유튜브 채널 운영 시 사업자 등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온라인 강의 사업자의 업종 코드는 무엇인가요?
    면세사업자와 과세사업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겸영사업자의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5인 미만 개인사업자가 세금 절세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관련 서류를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나요?

    법인이 자기주식 소각 시 발생하는 의제배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