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서 선택적 복지포인트의 과세 여부를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해당 복지포인트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의 대가성'을 충족하는지 여부입니다. 이는 통상임금 포함 여부와 직결되어 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 및 퇴직금 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복지포인트가 사용에 제한이 있고 양도가 불가능하며, 근로의 대가로 보기 어려운 경우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복지포인트 제도를 설계할 때 이러한 법적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과세 대상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 법규 및 판례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