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교육 사업자로 사업자등록 시 업종코드를 선택할 때에는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의 형태, 그리고 향후 사업 확장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사업 내용 및 교육 형태: 온라인으로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는지, 실시간 화상 강의를 주로 하는지, 아니면 오프라인 교육과 병행하는지에 따라 적합한 업종코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및 제공은 85504 (온라인 교육학원) 코드가 적합할 수 있으며, 실시간 화상 강의나 개인 과외 형태의 온라인 교육은 940903 (강사·과외·교육 서비스 제공자) 코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면세 혜택 및 공신력: 교육청의 인가를 받은 원격학원 형태로 등록할 경우 부가가치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사업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809016 (기타 교습학원)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사업 확장 계획: 추후 녹화 강의 판매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 있다면, 현재 사업자등록 시 이러한 확장성을 고려하여 업종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에 따라 부업종을 추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자등록 시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업종코드 분류표를 참고하거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사업 내용에 가장 적합한 업종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