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명의 상속주택 임대료는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

    2025. 11. 10.

    공동명의 상속주택의 임대료 신고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임대소득의 귀속: 상속받은 공동명의 주택의 임대소득은 원칙적으로 각 소유자의 지분율에 따라 분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만약 약정된 손익분배 비율이 있다면 해당 비율에 따라 소득을 나눕니다.

    2. 주택 수 계산: 공동소유 주택은 주택 수 계산 시 각 소유자가 해당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봅니다. 다만, 비과세 주택임대소득 판단 시에는 지분이 가장 큰 사람의 소유로 계산하는 등 예외 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종합소득세 신고: 각자의 지분율에 따라 계산된 임대소득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시 포함해야 합니다.

    4. 필요경비: 임대소득에서 공제 가능한 필요경비(수선비, 재산세, 보험료 등)를 꼼꼼히 챙겨 신고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임대사업자 등록: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임대주택의 경우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공동명의 주택의 경우 등록 방식에 따라 세법상 주택 수 계산이나 비과세 적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신고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 및 본인의 구체적인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수회계법인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공동명의 상속주택의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 절감 방법은 무엇인가요?
    공동명의 상속주택의 주택 수 계산 시 예외 규정은 어떻게 되나요?
    임대소득 신고 시 필요경비로 인정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공동명의 주택을 한 사람 명의로 변경하면 세금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세나(SENA) 서비스 이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민간임대주택 의무 임대 기간 미충족 시 세무 처리 방법은 무엇인가요?

    과세특례자도 종합소득세 환급이 가능한가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