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관리를 하지 않는 시향지의 계정과목으로 소모품비, 판매촉진비, 광고선전비, 도서인쇄비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2025. 11. 11.

    재고 관리를 하지 않는 시향지의 경우, 해당 시향지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계정과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판매촉진비: 고객에게 샘플로 제공하거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이벤트 경품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판매촉진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출 증대를 직접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지출로 볼 수 있습니다.

    2. 광고선전비: 불특정 다수에게 회사의 제품이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광고선전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시회나 박람회 등에서 홍보용으로 배포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소모품비: 사무실 내에서 직원이 사용하거나, 기타 일반적인 운영 과정에서 소모되는 경우 소모품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시향지의 경우 판매나 홍보 목적이 강하므로 이 경우는 드물 수 있습니다.

    도서인쇄비는 시향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계정과목이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어떤 계정과목을 선택하든, 해당 지출의 목적과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고 증빙 서류를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판매촉진비나 광고선전비로 처리할 경우, 관련 법규에 따라 부가세 처리 등에 유의해야 합니다.

    지수회계법인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판매촉진비와 광고선전비의 구체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시향지를 샘플로 제공할 때 필요한 증빙 서류는 무엇인가요?
    판매촉진비로 처리 시 부가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재고 관리를 하지 않는 판촉물의 회계 처리 시 유의사항은 무엇인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합병으로 취득한 토지 및 건물 명의 변경으로 발생한 취득세, 교육세, 법무사 수수료를 자본적 지출로 처리하는 것이 맞는지, 이미 9월 장부에 반영된 경우 어떻게 회계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줘.

    금융리스 종료 후 차량 매입 시 취득세 및 등록세 회계처리는 어떻게 되나요?

    사업자 등록 전에 지출한 자동차 보험 비용을 세금 신고 시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알려줘.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