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이 여러 병원에서 진료할 때 적용되는 업종 코드는 어떻게 되나요?
2025. 6. 4.
의료인이 여러 병원에서 진료하는 경우, 각 의료기관별로 해당하는 업종 코드를 적용합니다.
업종 코드 적용 원칙:
- 각 의료기관별 개별 적용: 복수 의료기관 근무 시에도 각 병원의 진료과목에 따라 해당 업종 코드를 적용합니다.
- 가정의학과의 경우: 보건업, 의료업, 의원 중 기타의원(코드번호: 851219)을 적용합니다.
- 진료과목별 분류: 각 의료기관에서 실시하는 진료과목에 따라 적절한 의료업 업종 코드를 적용합니다.
복수 의료기관 근무 시 주의사항:
- 차등수가 적용 시에는 주 5일 이상,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의사만 1인으로 산정
- 2개 이상 요양기관 근무 시 우선적으로 근무한 하나의 요양기관에서만 차등수가 인력 산정
- 각 의료기관에서의 진료행위에 대한 비용은 진료가 이루어진 요양기관에서 청구
따라서 의료인이 여러 병원에서 진료할 때는 통합된 하나의 업종 코드가 아닌,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개별 업종 코드를 적용하게 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복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의 차등수가 적용 기준은 무엇인가요?
의료인이 여러 병원에서 근무할 때 세무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