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의 주의의무란 무엇이며 관련 법적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2025. 7. 3.
세무사는 직무상 높은 수준의 주의의무를 가지며, 의뢰인의 이익을 위해 성실하게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세무사법에 명시된 여러 의무를 통해 구체화됩니다.
- 성실의무: 세무사는 납세자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건전한 세무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 비밀유지의무: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됩니다.
- 명의 대여 등 금지의무: 타인에게 자격증이나 등록증을 대여하거나 무자격자가 세무대리행위를 하도록 방조해서는 안 됩니다.
- 탈세 상담 등 금지의무: 탈세에 가담하거나 이를 조장하는 상담을 해서는 안 됩니다.
- 손해배상 책임: 고의 또는 과실로 의뢰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
세무사가 이러한 주의의무를 위반할 경우 징계 처분(견책, 업무정지, 등록취소 등)이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세무사의 업무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세무사 자격이 없는 무자격자의 세무대리행위 신고시 포상금은 얼마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