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연봉 5천만 원과 상가 소득 6천만 원일 때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중 어떤 방식이 유리한가요?
2025. 7. 5.
직장 연봉 5천만 원과 상가 소득 6천만 원이 있는 경우, 사업소득금액은 6천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종합소득금액은 9,775만 원이며, 과세표준은 9,625만 원으로 산출세액은 1,824만 7,500원입니다. 최종 결정세액은 1,758만 7,500원입니다.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중 어떤 방식이 유리한지는 사업소득의 규모와 실제 지출된 경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수입금액이 적고 실제 경비율이 낮은 경우 단순경비율이 유리하며, 수입금액이 크고 실제 경비율이 높은 경우 기준경비율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본인의 실제 경비 내역을 바탕으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용하여 세액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직장인의 부업 소득에 대한 필요경비 인정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종교인 소득의 필요경비 인정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