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사업자가 일반과세자로 전환할 때 재고품 매입세액공제를 어떻게 신고하고 부가세 신고서에 반영해야 하나요?
2025. 7. 7.
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로 전환될 때 재고품 매입세액 공제를 받으려면, 전환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고품, 건설 중인 자산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해 재고매입세액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 제도는 간이과세자였을 때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지 못했던 부분을 일반과세자로 전환된 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도록 하여 불이익을 방지합니다. 재고매입세액은 다음 산식에 따라 계산됩니다:
- 재고품: 재고금액 × 10/110 × (1 - 업종별 부가가치율)
- 건설 중인 자산: 해당 건설 중인 자산과 관련된 공제 대상 매입세액 × (1 - 업종별 부가가치율)
이렇게 계산된 재고매입세액은 일반과세자로 변경된 후 예정·확정 신고 시 납부세액에서 공제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재고매입세액 공제 대상 자산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 시 재고매입세액을 공제받지 못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에서 재고납부세액이란 무엇인가요?
1월에서 6월 간이과세자에서 7월부터 일반과세자로 전환될 때 재고매입세액을 공제받으려면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의 몇 번 항목에 반영해야 하나요?
법인 임대사업을 사업 개시 기간 이후에 신고할 경우 발생하는 가산세는 무엇인가요?
법인세 환급 결정내역에서 '당초'와 '경정'은 각각 어떤 경우에 기재되는지 알고 싶어요.
2024년 법원 확정으로 2021년 3월 19일 매출액 변동에 따라 부가세 경정청구를 2025년 7월 7일에 신고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슈에는 무엇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