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계산서 발행 시 주민등록번호로 신고해도 되나요?

    2025. 7. 14.

    세금계산서 발행 시 원칙적으로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재해야 합니다. 다만, 사업자등록번호가 없거나 사업자가 아닌 경우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여 발행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자등록 전 거래: 신규 사업자가 사업자등록증 교부일까지의 거래에 대해 본인 또는 대표자의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 종료 후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해야 합니다.
    • 사업자에게 주민등록번호로 발행 시: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개인에게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원칙적으로 세금계산서 부실기재 가산세(1%)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관할 세무서장이 결정 통지하기 전에 수정세금계산서를 교부하고 수정신고하면 가산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비사업자와의 거래: 전문자격사 등 현금수입 업종의 경우 비사업자와의 거래 시 세금계산서 발급 대상이 아니며, 현금영수증 의무발급 대상입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했더라도 현금영수증 발급 의무가 면제되지 않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주민등록번호로 받은 세금계산서로 매입세액 공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가리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해도 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