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감가상각률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2025. 7. 26.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감가상각률은 일반적으로 정액법을 사용하여 계산하며, 이는 건물의 취득가액에서 잔존가치를 뺀 금액을 내용연수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국세청 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 고시에 따르면 건물의 구조에 따라 내용연수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감가상각비 계산 공식: (취득가액 - 잔존가치) / 내용연수
내용연수 분류 (국세청 기준):
- Ⅰ그룹 (50년): 통나무조, 철골(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조, 석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조, 목구조, 라멘조의 모든 건물
- Ⅱ그룹 (40년): 연와조, 목조, 시멘트벽돌조, 보강콘크리트조, ALC조, 철골조, 스틸하우스조, 보강블록조, 와이어패널조의 모든 건물
- Ⅲ그룹 (30년): 경량철골조, 석회 및 흙벽돌조, 돌담 및 토담조, 황토조, 시멘트블록조, 조립식패널조의 모든 건물, 기계식주차전용빌딩
- Ⅳ그룹 (20년): 철파이프조, 컨테이너건물의 모든 건물
잔존가치: 모든 그룹에 동일하게 10%가 적용됩니다. 즉, 내용연수가 지난 건물이라도 최소 10%의 가치는 남아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40년 내용연수를 가진 건물의 경우, 40년이 지나도 가치가 0이 되는 것이 아니라 10%는 유지됩니다. 이는 연간 약 2.25%의 가격 하락률로 볼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아파트 감가상각은 왜 필요한가요?
건물 내용연수별 잔가율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