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딧이 세무나 회계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나요?
2025. 7. 29.
세무 및 회계 분야에서 '크레딧(Credit)'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레딧은 회계 장부에서 자산의 감소 또는 부채의 증가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사용되며, 세금과 관련해서는 납부해야 할 세금을 직접적으로 줄여주는 '세금 크레딧(Tax Credit)'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회계적 의미: 회계에서 크레딧은 대변(Credit) 항목을 의미하며, 자산 계정에서는 감소를, 부채 및 자본 계정에서는 증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발행하는 '크레딧 노트(Credit Note)'는 특정 금액이 구매자의 계좌에 입금되거나 환불되었음을 인정하고 기록하는 상업 문서입니다. 이는 구매자가 지불해야 할 미결제 잔액이나 부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세무적 의미 (세금 크레딧): 세금 크레딧은 납부해야 할 세금에서 직접적으로 공제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이는 과세 대상 소득을 줄이는 세액 공제(Tax Deduction)와 달리, 계산된 세금 자체를 줄여주기 때문에 세액 공제보다 더 큰 절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세금 크레딧은 환급 가능한 것과 환급 불가능한 것으로 나뉘는데, 환급 가능한 세금 크레딧은 납부할 세금이 없어도 환급받을 수 있는 반면, 환급 불가능한 세금 크레딧은 납부할 세액 한도 내에서만 공제됩니다. 대표적인 세금 크레딧으로는 근로 소득세 공제(EITC), 자녀 세금 공제, 교육 관련 세금 공제 등이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세액 공제(Tax Deduction)와 세금 크레딧(Tax Credit)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세금 크레딧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무등록 중고 리셀러가 계좌이체 위주로 거래한 경우, PG사에 집계된 금액만 소명하면 부가가치세 등의 추후 세무 리스크가 없는지?
세무조사 없이 소명요청 후 무대응 시 세무조사가 원칙적으로 진행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무등록 상태로 중고 리셀을 하면서 실제 재산 취득이 없고 소규모 거래(총 입금액 5억, 순이익 7천만 원)인 경우 현실적으로 세무조사나 부가가치세 추징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23년도 간이과세 금액 기준은 얼마인가요?
퇴사한 회사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지 못할 경우 대처 방법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