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사가 연결재무제표 작성 면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2025. 7. 29.

    비상장사가 연결재무제표 작성 의무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로 소규모 기업이거나, 상위 지배회사가 이미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소규모 기업: 외부감사를 받지 않는 소규모 기업은 연결재무제표 작성 의무가 면제됩니다.
    • 상위 지배회사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경우: 비상장 중간지배회사(즉, 최종 지배회사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는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1. 지배기업이 그 자체의 지분 전부를 소유한 다른 기업의 종속기업이거나, 지분 일부를 소유한 다른 기업의 종속기업이면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다른 소유주들에게 알리고 반대하지 않는 경우.
      2. 지배기업의 채무상품 또는 지분상품이 공개된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경우.
      3. 지배기업이 공개된 시장에서 증권을 발행할 목적으로 증권감독기구나 그 밖의 감독기관에 재무제표를 제출한 적이 없으며 제출하는 과정에 있지도 않은 경우.
      4. 지배기업의 최상위 지배기업이나 중간 지배기업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하여 일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 경우.

    특히, 소규모 비상장 기업(자산 5천억 원 미만)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작성 범위가 '모든' 종속기업에서 '외부감사법 적용 대상'인 종속기업으로 축소되어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이는 2022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지배력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요?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