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테크로 발생한 수익을 어떻게 세무 신고해야 하나요?
2025. 8. 2.
환테크로 얻은 수익은 그 유형에 따라 세금 신고 방법이 달라집니다.
환차익 (단순 외화 보유 또는 외화 예금의 환차익): 개인이 외화를 단순히 보유하거나 외화 예금에서 환율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 환차익은 현재 비과세 대상이므로 별도로 세무 신고할 필요가 없습니다.
외화 예금 이자: 외화 예금에서 발생하는 이자는 이자소득으로 간주되어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됩니다. 연간 금융소득(이자+배당)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FX 마진거래 소득: 외환 마진거래를 통해 얻은 소득은 파생상품으로 분류되어 기타 소득으로 과세됩니다. 이익의 22%(지방소득세 포함)가 부과되며, 연간 기타 소득이 3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세무 신고 대상이 됩니다.
해외주식 직접투자 환차익: 해외주식 직접투자 시 발생하는 환차익은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에 포함됩니다. 연간 250만 원을 공제한 초과분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해야 합니다.
해외펀드 투자 환차익: 해외펀드 투자로 발생한 환차익은 배당소득에 포함되어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해외펀드는 원화로 투자하고 원화로 환전하여 받는 구조이므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환차익에 대한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환테크 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