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가공무역 방식의 수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2025. 8. 4.
위탁가공무역 방식의 수출은 국내 기업이 원자재를 해외에 보내 가공을 위탁하고, 완성된 제품을 다시 국내로 들여오거나 제3국으로 수출하는 형태의 무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인건비 절감이나 특정 기술 활용을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개념: 가공임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외국에서 원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출하거나 외국에서 조달하여 가공한 후, 가공물품을 수입하거나 외국으로 인도하는 수출입을 말합니다.
- 주요 목적: 국내 인건비 상승에 따른 원가 절감, 또는 해외의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하여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함입니다.
- 절차: 해외 공장과 위탁가공 계약을 체결하고, 원료를 공급한 후 해외에서 제조 및 가공 과정을 거쳐 완성된 제품을 수입하거나 현지 판매 또는 제3국으로 수출하며 가공임을 지급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 계약: 위탁가공 계약은 통상 CMT(Cutting, Making, Trimming) Contract 또는 Consignment Processing Contract라고 불리며, 원자재 대금 결제 방법, 수량 및 관리 방법, 제조 공정 관리 방법, 가공임 결정 및 결제 방법, 분쟁 처리 방법 등을 명시합니다.
- 수출 신고: 임가공 수출 신고 시에는 물품 대금을 지급받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 해외 임가공 업체에 가공임을 지급하므로, 수출 신고서상 거래 구분은 '29: 위탁가공원자재', 결제 방법은 'PT: 임가공지급방식'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위탁가공무역 시 부가가치세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위탁가공무역과 중계무역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