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이 7월이고 자본적지출이 10월에 발생했을 때 3개월분으로 계산하는 것이 맞나요?
2025. 8. 10.
네, 맞습니다. 자본적 지출은 해당 자산의 원가에 가산하고, 그 금액에 대해 당해 연도에 남은 기간(지출월부터 연말까지)만큼 감가상각 범위액에 포함해 계산합니다. 따라서 7월에 취득하고 10월에 자본적 지출이 발생했으면 10월·11월·12월, 즉 3개월분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증시상각의 의제)에서 자본적 지출을 포함한 상각범위는 지출일 기준으로 남은 월수만큼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자본적 지출은 자산의 원가에 가산하고, 그 금액을 남은 기간에 걸쳐 감가상각비로 손금에 산입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자본적 지출을 자산 원가에 포함시키는 구체적인 회계 처리 방법은?
자본적 지출이 발생한 경우 감가상각 범위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2024년 7월 1일에 2억 원에 건물을 취득하고 2024년 10월 1일에 1천만 원의 설치비(자본적 지출)를 추가했으며, 내용연수 10년 정률법 적용 시 상각부인액은 얼마인가?
자본적 지출은 취득원가에 합산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것이 맞는가?
일년 총 이자 16,800,000원에서 10,000,000원을 차감하고 연금 1,000,000원을 더한 금액에 7.09%를 곱한 뒤 12개월로 나누면 80세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맞나요?
세법상 상각부인액을 19,743,590원으로 계산하는 것이 맞는가?
일용직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다른 세금 혜택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