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소득을 신고할 때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2025. 8. 16.

    사업자등록을 하면 기타소득이 사업소득으로 간주돼 사업자세(부가가치세·소득세) 신고 의무가 생기고, 사업 관련 비용을 손익계산서에 반영해 경비를 차감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업자등록이 없으면 기타소득(예: 프리랜서 수입)으로 간주돼 원천징수(3.3% 등) 후 개인소득세 신고만 하면 되며, 부가가치세 등 사업세는 없고 경비 인정 범위도 제한됩니다.

    • 사업자등록 시: 사업소득·부가가치세 신고, 손익계산서·장부 의무, 경비 차감 가능, 세율은 종합소득세 누진세 적용.
    • 비사업자: 기타소득으로 원천징수 후 개인소득세 신고, 경비 인정 제한, 부가가치세 없음, 세율은 22%(공제 후) 등 고정세율 적용.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업자 등록 없이 프리랜서 소득을 신고할 때 주의할 점은?
    사업자 등록 시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는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