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신고필증의 거래구분 코드별 의미와 적용 기준은 무엇인가요?

    2025. 8. 29.

    수출신고필증 10번에 기재되는 거래구분 코드는 수출 형태를 구분합니다. 주요 코드와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1 – 일반형태 수출: 전통적인 수출 방식 전체에 적용.
    2. 15 – 전자상거래 수출: 온라인 주문·결제 등 전자거래를 통해 이루어진 경우.
    3. 17 – 전자상거래 풀필먼트 수출: 해외 물류센터를 이용한 풀필먼트 방식.
    4. 21 – 외국인 투자업체가 외국에서 원자재를 수탁받아 가공 후 수출.
    5. 22 – 일반업체가 외국에서 원자재를 수탁받아 가공 후 수출.
    6. 29 – 위탁가공(국외가공)용 원자재 수출.
    7. 31 – 위탁판매용 물품 수출.
    8. 32 – 연계무역(구상무역) 수출.
    9. 33 – 소유권 이전형 임대수출.
    10. 39 – 소유권 불이전형 임대수출.
    11. 72 – 수입 후 원상태 재수출(유상 판매).
    12. 79 – 중계무역수출 등 기타 특수 형태는 해당 코드표를 참고해 정확히 선택합니다. 코드 선택 시 실제 거래 형태와 계약 조건을 정확히 반영해야 하며, 잘못 기재 시 통관 지연·수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수출신고필증 상 수출자 구분 코드(A, B, C)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수출신고필증의 각 정보 항목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수출신고필증 거래구분 코드와 수출신고서 작성 시 주의사항은?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