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직원이 8월 11일부터 29일까지 근무 후 퇴사했을 때 주휴수당은 3일인가 2일인가요? 또한 8월 15일 유급휴일인 해당 주에 주휴수당은 지급되지 않나요?

    2025. 9. 5.

    일용직 근로자가 8월 11 일부터 29 일까지 근무하고 8월 15 일에 유급휴일을 가진 경우, 주휴수당은 총 2 일이 지급됩니다.

    근거

    • 근로기준법 제55조(1)·시행령 제30조(1): 1 주(7 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하고 주당 15 시간 이상 근무하면 1 일의 유급휴일(주휴수당)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 대법원 2009.12.24. 2007다73277 판결노동부 행정해석(근기 68207‑424): 일용근로계약이 반복·갱신되어 연속적으로 근로관계가 유지되는 경우, 일용근로자도 상용근로자와 동일하게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주별 적용

    1. 8 월 11 ~ 17 일(첫 주) – 월‑목 근무, 8 월 15 일은 유급휴일(주휴수당 지급 대상). 4 일 근무 + 유급휴일 = 5 일을 개근하므로 주휴수당 1 일 지급.
    2. 8 월 18 ~ 24 일(둘째 주) – 월‑금 전일 근무, 5 일을 모두 개근하므로 주휴수당 1 일 지급.
    3. 8 월 25 ~ 29 일(셋째 주) – 월‑목 근무 후 퇴사, 5 일을 개근하지 못하므로 주휴수당 없음.

    따라서 총 2 일(첫 주와 둘째 주)만 지급됩니다. 8 월 15 일의 유급휴일은 주휴수당 지급을 막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주휴수당이 지급되는 날이 됩니다.

    정확도: 매우높음

    연관질문

    1. 일용직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2. 퇴직 직후 남은 주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3. 일용근로자가 1 주 15 시간 미만 근무했을 때 주휴수당은 어떻게 되나요?

    출처

    • 노동부 행정해석(일용근로자의 주휴수당 발생요건) – https://www.nodong.kr/interpretation/2388305
    • 네이버 블로그 ‘일용근로자의 주휴수당 발생요건 및 1주 단위의 기산일은 언제인지’ – https://blog.naver.com/4273388/222930418201
    • 근로기준법 제55조·시행령 제30조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