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자금 부족 시 대표이사에게 자금을 빌릴 수 있는 한도는 얼마인가요?

    2025. 9. 28.

    대표이사에게 회사를 위해 자금을 차입할 때 법적으로 정해진 금액 한도는 없습니다. 다만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부당행위계산’·‘지급이자 손금불산입’ 등 세무·법적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1️⃣ 이사회·주주총회 결의 – 대표이사에게 차입을 허용하려면 정관·이사회 규정에 따라 적법한 결의를 받아야 합니다. 2️⃣ 시장성 이자율 적용 – 차입금에 대해 반드시 시장 금리(또는 기준금리 + 가산액)로 이자를 부과해야 합니다. 이자율이 ‘법정이자율(4.6 %)’보다 낮을 경우, 법인세법 제28조에 따라 차입이자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대상이 되며, 법인세법 시행령 제53조에 따라 ‘업무와 무관한 자금’ 으로 간주될 위험이 있습니다. 3️⃣ 부당행위계산(법인세법 제52조) 적용 여부 – 차입금액이 ‘특수관계인(대표이사)에게 업무와 무관하게 제공된 자금’ 으로 판단되면, ‘부당행위계산 부인’ 대상이 되어 차입이자 전액을 소득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판단 기준은 ‘시가(시장가격)’ 와 ‘경제적 합리성’ 이며, 차입액이 ‘자본금·자산 규모에 비해 과도’ 하거나 ‘회사 재무 건전성을 해치는 경우’ 부당행위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재무제표·공시 의무 – 차입금은 재무제표에 정확히 표시하고, 차입조건·이자율·상환계획 등을 문서화해 두어야 합니다. 또한, 연말에 ‘지급이자 원천징수(27.5 %)’ 를 이행하고,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5️⃣ 실질적 한도 – 법적으로는 제한이 없지만, 실무적으로는 ‘회사 자본금·순자산·영업현금흐름’ 등을 고려해 ‘채무불이행 위험’ 이 없도록 적정 규모(예: 자본금 × 2 배 이하 등)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요약하면, 대표이사에게 차입할 수 있는 금액에 법적 상한은 없으나 ‘이사회·주주 결의’, ‘시장성 이자율 적용’, ‘부당행위계산·지급이자 손금불산입 방지’를 충족해야 하며, 차입액이 회사 재무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대표이사에게 무이자 대여 시 세무 처리 방법은?
    회사에서 대표이사에게 대여한 금액을 가지급금으로 처리할 경우 주의점은?
    부당행위계산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