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에서 산재가 발생했을 때 근로자가 산재보험을 신청하는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2025. 10. 3.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업장에서 근무하던 중 업무상 재해가 발생했더라도, 근로자는 산재보험 신청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
- 요양급여 신청서 제출: 근로자는 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이라도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 신청서를 비롯한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공단의 조사: 근로복지공단은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사고의 업무 관련성, 사업주의 보험 가입 여부 등을 조사합니다.
- 공단의 우선 지급 및 구상: 만약 사업장이 산재보험에 미가입된 사실이 확인되면, 근로복지공단이 먼저 요양급여, 휴업급여 등 필요한 보상을 지급합니다. 이후 공단은 해당 사업주에게 지급된 보험급여액을 청구(구상)합니다.
- 승인 및 급여 지급: 조사를 통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면, 근로자는 치료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등 관련 산재보험 급여를 지급받게 됩니다.
주의사항: 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의 경우, 사업주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가입된 사업장보다 승인 과정이 더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 발생 직후부터 근로관계 및 업무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근로계약서, 급여 이체 내역, 동료 진술, CCTV 영상, 병원 진료 기록 등)를 최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근로복지공단이나 노동청에 산재보험 미가입 사실을 신고하는 것도 추후 절차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을 신고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산재보험 미가입 시 사업주가 받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보상 절차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