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과세자로 부업종 등록 가능한 업종 코드를 추천해줘.
2025. 10. 19.
간이과세자로 부업종 등록 시 업종 코드는 사업의 성격과 영위하고자 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간이과세자는 세금 신고 및 납부 부담이 적어 소규모 사업자에게 유리하지만, 일부 업종은 간이과세가 배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간이과세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부업종 코드 예시:
- 전자상거래 소매업 (업종 코드: 525101): 온라인 쇼핑몰 운영, 오픈마켓 판매 등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비교적 간편하게 사업자 등록이 가능하며, 다양한 상품을 취급할 수 있습니다.
- 기타 개인 서비스업 (업종 코드: 749990): 컨설팅, 교육, 디자인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본업과 관련된 전문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하여 부가적인 수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광고 대행업 (업종 코드: 743002): 온라인 광고, 홍보물 제작 등 광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입니다. 본업에서 쌓은 경험이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광고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간이과세 배제 업종에 해당하는 경우(예: 전문 서비스업 중 일부, 제조업 중 일부 등)에는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거나 일반과세자로 전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자 등록 전에 해당 업종이 간이과세 배제 업종에 해당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업종 코드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업종코드 찾기' 기능을 통해 상세한 설명과 함께 조회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사업 내용과 가장 유사한 업종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업종 코드 선택 및 사업자 등록 절차에 대해서는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사업자등록 시 업종코드를 잘못 선택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간이과세자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