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2025. 10. 19.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는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상시로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를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령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상시근로자 수 산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포함되는 근로자: 정규직, 계약직, 단시간 근로자, 수습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 고용 형태와 관계없이 사업주가 직접 고용한 모든 근로자가 포함됩니다. 또한, 병가, 육아휴직, 출산휴가, 정직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근무하지 않더라도 고용 관계가 유지되는 근로자도 포함됩니다.

    2. 제외되는 근로자: 대표이사, 등기임원, 감사 등 법인 등기부에 등재된 임원은 일반적으로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가사 사용인, 파견근로자, 도급 또는 용역 계약을 통해 고용된 근로자,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동거 친족 등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3. 계산 방법: 상시근로자 수는 법 적용 사유 발생일을 기준으로 직전 1개월 동안의 총 연인원 수를 같은 기간 중의 가동일 수로 나누어 산정합니다. (연인원 = 하루에 근무한 근로자 수 × 가동일 수)

    4.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으로 근무한 날이 한 달의 절반 이상인 경우, 총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으로 산정되더라도 5인 미만 사업장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5인 이상으로 근무한 날이 한 달의 절반 이상이라면 5인 미만으로 산정되더라도 5인 이상 사업장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상시근로자 수에 따라 근로기준법 적용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프리랜서도 상시근로자 수에 포함되나요?
    사업장 쪼개기란 무엇이며,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첫 달에 공제된 4대보험료를 환급받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무실적 신고만으로도 직권 폐업을 막을 수 있나요? 매출이 0원이어도요.

    실수령액 259만원인데 당월 소득세가 0원일 수 있는지 알려줘.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