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될 경우 세전/세후 및 12개월/13개월 계산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2025. 10. 22.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는 경우, 세전 및 세후 실수령액 계산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연봉을 13개월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식은 퇴직금이 연봉 총액에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므로, 실제 근로의 대가로 받는 임금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 포함 여부 확인: 연봉 계약 시 퇴직금이 연봉 총액에 포함되어 있는지 명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연봉을 13개월로 나누어 계산하는 경우, 이는 퇴직금이 포함된 금액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12개월로 나누어 계산하는 경우 퇴직금은 별도로 지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질 연봉 감소: 연봉 총액이 동일하다면, 퇴직금을 포함하여 13개월로 나누는 경우 매월 실수령하는 금액은 12개월로 나누는 경우보다 적습니다. 이는 퇴직금 명목의 금액이 실제 근로의 대가인 임금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퇴직금 산정 방식: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경우 법적으로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다면, 퇴직 시 별도의 퇴직금을 받지 못하거나, 포함된 금액만큼만 받게 됩니다. 1년 미만 근로 시에는 퇴직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세전/세후 계산: 퇴직금은 근로소득이 아닌 퇴직소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연봉 총액에서 퇴직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근로소득세를 계산해야 하며, 퇴직금 자체에 대한 세금도 별도로 고려해야 합니다. 연봉을 13개월로 나누어 계산할 때, 이 금액이 세전인지 세후인지, 그리고 퇴직금에 대한 세금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로계약서 확인: 연봉 계약 시 급여 지급 방식, 퇴직금 포함 여부, 상여금 등 모든 임금 구성 항목을 명확히 기재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연봉 계약 시 퇴직금 포함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퇴직금이 포함된 연봉을 13개월로 나눌 때 세후 실수령액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