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예고 없이 해고당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2025. 10. 23.

    해고 예고 없이 해고당하셨다면, 해당 해고는 효력이 없으며 부당해고로 주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해고 예고 없이 해고당했을 경우, 근로기준법에 따라 해고의 효력을 다투고 복직 또는 임금 등의 금전적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고의 서면 통지 의무 위반: 근로기준법 제27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할 때 반드시 해고 사유와 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해고는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2. 해고 예고 의무 위반: 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하거나 30일분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해고 예고 없이 해고당했다면, 이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부당해고 구제 신청: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고 무효 확인, 복직, 임금 상당액 지급, 손해배상 등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증거 확보 및 전문가 상담: 해고 통보와 관련된 문자, 카톡, 이메일, 녹취 등 모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해고 통지를 서면으로 받지 않았을 때 급여 및 퇴직금은 어떻게 청구할 수 있나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때 필요한 서류와 절차는 무엇인가요?
    해고 통지 후 3개월 이내에 노동위원회에 신청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해고 예고 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