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임대소득이 있을 때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2025. 5. 28.
상가 임대소득이 있을 때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 연간 임대소득이 2,000만원 이하면 추가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2,000만원 초과 시, 초과분에 대해 7.09%의 건강보험료가 추가 부과됩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 소득, 재산, 자동차 등을 점수화하여 계산합니다.
- 임대소득은 사업소득으로 간주되어 100% 반영됩니다.
- 소득 점수 + 재산 점수 + 자동차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당 189.7원을 곱해 보험료를 산정합니다.
피부양자의 경우:
- 연 소득 2,000만원 이하이고 재산 요건을 충족하면 보험료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정확한 보험료 계산을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의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직접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상가 임대소득이 있을 때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산정 시 재산은 어떻게 반영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