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수리비의 회계처리 시 어떤 계정과목으로 처리해야 하나요?

    2025. 6. 9.

    엘리베이터 수리비의 회계처리는 수리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처리됩니다.

    1. 수익적 지출 (비용처리)

    • 계정과목: 수선비 또는 승강기유지비
    • 적용 사례:
      • 소모품 교체 (벨트, 부속품 등)
      • 정기점검 및 유지보수
      • 고장 수리 등 정상기능 유지를 위한 지출
    • 분개예시: (차) 수선비 또는 승강기유지비 XXX / (대) 현금 XXX

    2. 자본적 지출 (자산처리)

    • 계정과목: 건물 또는 구축물
    • 적용 사례:
      • 엘리베이터 전면교체
      • 새로운 엘리베이터 설치
      • 내용연수를 연장하거나 자산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개조공사
    • 분개예시: (차) 건물 XXX / (대) 현금 XXX

    3. 공동주택의 경우

    승강기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고장 발생 시 소요되는 비용은 승강기유지비로 처리해야 하며, 장기수선계획에 포함된 전면교체는 장기수선충당금으로 집행합니다.

    핵심은 단순한 유지보수인지, 자산가치 증대나 내용연수 연장을 위한 지출인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의 구분 기준은 무엇인가요?
    공동주택에서 장기수선계획 대상 공사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