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임대 사업자가 비용처리할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2025. 6. 10.
주택 임대 사업자의 비용처리 가능 항목
주택 임대사업자가 비용처리할 수 있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자비용: 임대용 부동산 마련을 위한 대출 이자
- 제세공과금: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교통유발부담금 등 (단, 과태료 제외)
- 감가상각비: 건물 취득비용(토지 제외)을 내용연수에 따라 분할 계상
- 수선비: 도배, 장판 교체 등 수익적 지출
- 지급수수료: 부동산 중개수수료, 세무대리인 수수료, 위탁운영 수수료
- 공과금: 전기, 가스, 수도, 통신비 등(세금계산서 필요)
- 보험료: 화재보험료 등 임대용 부동산 관련 보험료
- 광고비: 임대 홍보 관련 비용
- 인건비: 청소, 관리 등 고용 인력 급여 및 4대보험료
단, 모든 비용은 사업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하며, 세금계산서 등 적격증빙을 수취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주택 임대사업자가 관리비 수입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임대사업자가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중 어떤 방식으로 신고해야 유리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