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가 사업자등록을 할 때 어떤 업종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가요?

    2025. 7. 1.

    유튜버가 사업자등록 시 선택할 수 있는 주요 업종코드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940306)과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921505) 두 가지입니다. 어떤 코드가 유리한지는 유튜버의 활동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940306):

      •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고 물적 시설(스튜디오 등) 없이 인터넷만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 면세사업자로 분류되어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면제됩니다. 다만, 부가가치세 환급은 받을 수 없습니다.
      • 청년창업세액감면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921505):

      • 방송용 스튜디오를 사용하거나 근로자를 고용하는 등 물적·인적 시설을 갖추고 활동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 과세사업자로 분류되어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발생하지만, 구글 애드센스 등 외화 수익에 대해서는 영세율이 적용되어 부가세 납부액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촬영 장비 구입비 등 매입세액에 대한 부가가치세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초기 시설 투자 비용이 큰 경우 유리합니다.
      • 청년창업세액감면 적용이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 초기 투자 비용이 적고 혼자 운영한다면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940306)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직원을 고용하거나 시설 투자가 많고 부가가치세 환급이 필요하며, 청년창업세액감면을 고려한다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921505)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유튜버가 과세사업자로 등록할 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유튜버의 수입이 증가하면 면세사업자에서 과세사업자로 전환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