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실적 기한 후 신고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2025. 7. 8.

    무실적 기한 후 신고는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에도 세무서장이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하여 통지하기 전까지 가능합니다. 홈택스를 통해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2. 신고 메뉴 선택: 종합소득세의 경우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를 클릭합니다.
    3. 신고 유형 선택: [모두채움 신고/단순경비율 신고] 또는 [일반 신고] 중 본인에게 해당하는 유형을 선택합니다.
    4. 기한 후 신고 버튼 클릭: [기한후신고] 버튼을 클릭하여 절차를 진행합니다.

    무실적 신고는 사업자가 특정 과세 기간 동안 매출과 매입이 전혀 없을 때 제출하는 세금 신고를 의미하며, 매출이 없더라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지연 기간에 따라 가산세 감면 혜택이 달라지므로, 최대한 빨리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기한 후 신고 시 가산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무실적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