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용 가결산 재무제표에서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경우 문제가 되는지, 입찰 시 재무제표에서 주로 확인하는 항목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2025. 7. 9.

    입찰용 가결산 재무제표에서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경우 심각한 재무적 문제를 나타냅니다. 이는 회사의 자본이 완전히 잠식된 상태인 자본잠식을 의미하며, 재무 건전성이 크게 훼손되어 대출이나 투자 유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2년 연속 개선되지 않으면 상장폐지 위험까지 있습니다. 또한, 거래처나 금융기관의 신뢰를 잃어 거래 중단이나 대출 회수 등의 위험이 따릅니다.

    입찰 시 재무제표에서 주로 확인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본총계: 회사의 순자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마이너스인 경우 자본잠식을 의미하여 재무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2. 자본금: 회사를 설립할 때 주주들이 납입한 금액으로, 회사의 기본 자본 규모를 나타냅니다.
    3. 부채비율: 회사의 부채가 자본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재무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4. 유동비율: 단기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회사의 단기 지급 능력을 평가합니다.
    5.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 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최종 이익으로,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자본잠식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개인사업자의 자본금이 마이너스가 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