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점업(업종코드 552301)을 창업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 사항은 무엇인가요?
2025. 7. 19.
제과점업(업종코드 552301) 창업을 위해서는 영업신고와 사업자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세금 혜택을 고려한 업종 코드 선택이 중요합니다.
- 영업신고 준비: 보건증 발급과 위생교육 수료가 필수입니다. 보건증은 관할 보건소에서 검사 후 발급받고, 위생교육은 한국휴게음식점 중앙회에서 수료해야 합니다.
- 사업자등록: 영업신고증을 발급받은 후 세무서 또는 홈택스를 통해 사업자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이때 업종코드를 '552301(제과점업)'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코드는 빵이나 과자를 직접 구워 판매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청년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등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빵을 직접 만들지 않고 받아서 판매하더라도 접객시설을 갖추었다면 제과점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 세금 관련 고려사항: 창업 초기 투자 비용이 많다면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해 일반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면세 품목인 밀가루, 우유 등을 구입하여 과세 상품으로 판매할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관련 증명 서류를 잘 챙겨야 합니다. 직원을 고용할 경우 매달 원천세 신고도 필수입니다.
- 상가 임대차 계약 시 주의사항: 상가 임대차 계약 전에는 해당 건물의 용도지역 및 용도, 기존 영업자의 폐업 신고 여부, 행정처분 이력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공실의 경우 기존 임차인의 폐업 신고가 완료되지 않았거나 행정처분 이력이 있다면 영업신고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관할 구청 위생과나 부동산정보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입점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제과점업 창업 시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휴게음식점과 일반음식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