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계기준 제 1037호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2025. 7. 29.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는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의 회계처리와 공시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충당부채의 인식: 과거 사건의 결과로 현재 의무가 존재하고, 해당 의무 이행을 위해 경제적 효익이 있는 자원의 유출 가능성이 높으며,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을 때 충당부채를 인식합니다.
- 충당부채의 측정: 현재 의무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 측정하며, 화폐의 시간가치 영향이 중요하다면 현재가치로 평가합니다.
-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우발부채와 우발자산은 재무제표에 인식하지 않지만, 경제적 효익의 유출 또는 유입 가능성이 희박하지 않다면 주석으로 공시합니다.
- 손실부담계약 및 구조조정: 손실부담계약은 충당부채로 인식하며, 구조조정 관련 충당부채는 특정 요건을 충족할 때만 인식합니다.
- 공시: 충당부채의 유형별로 기초 및 기말 잔액, 변동 내역, 특성, 경제적 효익 유출 예상 시기 및 금액의 불확실성 정도 등을 상세히 공시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충당부채와 우발부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에서 말하는 '최선의 추정치'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