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에서 AI를 활용하여 세무조사 대상을 선정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2025. 8. 1.
국세청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탈루 위험 탐지 시스템'을 통해 세무조사 대상을 선정하며, 이는 크게 정기 세무조사와 비정기 세무조사 기준으로 나뉩니다.
정기 세무조사 대상 선정 기준:
- 신고 성실도 분석 결과 불성실 혐의가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선정됩니다.
- 최근 4과세기간 이상 같은 세목의 세무조사를 받지 않은 납세자 중 업종, 규모, 경제력 집중 등을 고려하여 신고 내용 검증이 필요한 경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과거에는 무작위 추출 방식의 표본조사도 있었으나, AI 도입으로 그 비중이 축소되었습니다.
비정기 세무조사 대상 선정 기준:
- 납세자가 세법상 신고,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세금계산서 작성·교부·제출, 지급명세서 작성·제출 등 납세협력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선정될 수 있습니다.
- 무자료거래, 위장·가공거래 등 거래 내용이 사실과 다른 혐의가 있는 경우 대상이 됩니다.
- 구체적인 탈세 제보가 있는 경우 세무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신고 내용에 탈루나 오류의 혐의를 인정할 만한 명백한 자료가 있는 경우 선정됩니다.
특히 현금 매출 누락은 세금 탈루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 세무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2025년부터는 개인사업자까지 AI 기반 세무조사 대상 선정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AI 세무조사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세무조사 시 어떤 자료를 준비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