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보 추인이란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지 알려주세요.
2025. 8. 5.
유보와 추인은 회계와 세법 간의 차이를 조정하는 개념입니다. 유보는 회계상으로는 인식되었지만 세법상으로는 아직 인정되지 않아 일시적으로 조정되는 금액을 의미하며, 추인은 이전에 유보로 처리된 금액이 세법상으로 인정되면서 조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유보와 추인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회계와 세법의 목적 차이: 회계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공정하게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세법은 세금 징수 및 경제 정책 실행을 목적으로 합니다.
- 인식 기준의 차이: 회계는 발생주의에 기반하여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지만, 세법은 현금주의 또는 특정 규정에 따라 인식합니다.
- 정책 목표의 차이: 회계는 재무 보고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중시하며, 세법은 조세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설계됩니다.
주요 발생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가상각비: 회계상 감가상각비가 세법상 인정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유보가 발생하며, 추후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될 때 추인됩니다.
- 대손충당금: 회계상 대손충당금을 설정했지만 세법상 인정되지 않는 경우 유보가 발생하며, 세법상 인정되는 시점에 추인됩니다.
- 퇴직급여충당금: 회계상 설정한 퇴직급여충당금이 세법상 한도를 초과할 경우 유보가 발생하며, 실제로 퇴직금이 지급될 때 추인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세무조정 시 유보와 기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법인세 세무조정은 왜 필요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