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법인 대표이사의 급여가 매출 1억원 미만일 때 적정 급여 비율은 얼마인가요?
2025. 8. 6.
매출 1억 원 미만 1인 법인 대표이사의 급여에 대한 명확한 적정 비율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세무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수준으로 급여를 책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여의 합리성 및 정당성 확보: 급여는 회사의 재정 상황, 사업 규모, 동종업계 급여 수준 등을 고려하여 실제 수행한 업무에 합당한 수준으로 책정해야 합니다.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급여는 세무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적법한 절차 준수: 임원 보수는 정관에 명시하거나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결정해야 하며, 1인 법인의 경우 이사회 의사록과 보수계약서 작성이 필요합니다. 정관에 보수액 또는 보수 한도 규정이 없으면 주주총회에서 보수 한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가지급금 문제 방지: 대표이사가 법인 자금을 대여받아 급여로 지급하는 경우 가지급금으로 간주되어 추가 세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손금 불산입 위험 관리: 임원 보수가 정상적인 업무 대가가 아닌 법인 이익 분여로 판단되면 손금 불산입되어 법인세 추징 위험이 있습니다.
4대 보험 가입 고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가입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급여 설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최소 삼십만 원에서 사십만 원 이상으로 책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1인 법인 대표이사가 무보수로 운영할 경우 세무상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법인 대표이사의 급여를 인상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법인 대표이사의 급여 책정 시 법인세와 소득세 중 어떤 것을 우선 고려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