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처럼 해외사이트에서 사진, 그림, 템플릿을 판매하여 수익이 발생할 때 사업자등록 시 알맞은 업종코드는 무엇인가요?

    2025. 8. 7.

    Shutterstock과 같은 해외 사이트에서 사진, 그림, 템플릿을 판매하여 수익이 발생할 경우, 사업자등록 시 적합한 업종코드는 '미디어콘텐츠 창작업(921505 또는 92150506)' 또는 '화가(940200)'입니다.

    • 미디어콘텐츠 창작업(921505 또는 92150506): 디지털 파일을 판매하는 경우에 적합한 업종코드입니다. 특히 해외 디지털 판매 플랫폼을 통해 일러스트나 디자인을 판매하는 경우 이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화가(940200): 자사몰이나 오픈마켓이 아닌 개인 서비스업 형태로 그림을 판매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인적, 물적 시설 없이 1인으로 활동하는 경우 면세사업자에 해당하며, 이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 없이 다음 연도 2월에 면세사업장현황신고를 하면 됩니다.

    만약 SNS 마켓을 통해 판매한다면 '통신판매업(525104)'으로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등 SNS 채널을 이용하여 물품 판매, 구매 알선, 중개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 산업 활동을 포함합니다. 다만, 업종코드 선택은 사업의 구체적인 형태와 수익 발생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해외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판매 시 부가가치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업자등록 시 업종코드를 잘못 선택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개인사업자가 아닌 프리랜서로 활동할 경우 세금 신고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