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이체 회계 계정을 어떻게 설정하나요?
2025. 8. 13.
은행간 대체이체(예: 기업은행 → 타은행) 전표를 입력할 때는 다음과 같이 계정과목을 설정합니다.
- 전표 유형 선택: ‘대체’(또는 ‘입/출금’)을 선택합니다.
- 출금 계정: 이체를 보내는 계좌(예: 국민은행) 를 ‘출금’으로 지정하고, 해당 계정(예: 현금·예금 등)을 선택합니다.
- 입금 계정: 받는 계좌(예: 우리은행) 를 ‘입금’으로 지정하고, ‘보통예금’ 등 상대 계정을 선택합니다. 이때 ‘대체’ 구분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분개 확인: 차변(출금)과 대변(입금) 금액이 동일하도록 확인하고, 필요 시 부가세 등 추가 항목을 입력합니다.
- 저장: 전표를 저장하면 입·출금이 동시에 기록된 대체전표가 완성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은행간 이체를 입출금 전표로 입력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대체전표와 일반 전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대체거래를 회계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은?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