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실적인 경우 세무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5. 8. 13.
매출·매입 실적이 없더라도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는 존재합니다. 따라서 매출·매입이 모두 0원이라도 정해진 신고·납부 기한 내에 ‘무실적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신고 의무: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으면 매출·매입이 없더라도 신고해야 함(무실적 신고).
- 신고 시점: 일반과세자는 1기(1~3월)·2기(7~9월) 확정신고 기간에, 간이과세자는 연 1회(1월) 확정신고 기간에 0원 신고.
- 신고 방법: ① 홈택스(PC) → 부가가치세 신고 → 0원 입력 후 제출, ② 손택스 모바일, ③ ARS(1544‑9944), ④ ERP(예: 얼마에요ERP) 등.
- 무신고 시 위험: 신고 누락 시 국세청이 사업자 실적을 파악하지 못해 세무조사·직권폐업 위험이 있으나, 무실적 신고를 하면 가산세 없이 처리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무실적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되나요?
무실적 신고는 어떤 방법으로 할 수 있나요?
간이과세자의 무실적 신고는 언제 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