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누계액은 어떤 계정인가요?

    2025. 8. 17.

    감가상각누계액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누적액을 기록하는 대체(contra‑asset) 계정입니다. 재무상태표에서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을 차감한 순장부가액(순자산)으로 표시됩니다.

    • 간접 차감법에서 감가상각비는 비용계정에, 누적된 감가상각액은 ‘감가상각누계액’이라는 별도 계정에 적립됩니다.
    • 이 계정은 자산의 장부가액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누적 감가상각액을 별도로 관리해, 자산의 순가치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 손익계산서에는 감가상각비만 비용으로 계상되고, 재무상태표에서는 감가상각누계액이 차감항목으로 나타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감가상각비와 감가상각누계액은 어떻게 차이점이 있나요?
    직접 차감법과 간접 차감법의 회계처리 차이는 무엇인가요?
    감가상각을 정액법과 정률법으로 적용할 때 회계상 처리 방법은 어떻게 다르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