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험료를 기준으로 고용증대 여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2025. 8. 18.

    고용증대 여부는 기업이 고용한 정규근로자 수가 증가했는지와, 증가한 인원 1인당 납부한 사회보험료(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총액이 아래 기준을 초과했는지로 판단합니다.

    • 정규근로자(1년 이상 계약·전일제 등) 수 증가 확인 → 월말 상시근로자 평균 계산(월말 근로자수 합÷개월수)
    • 1인당 사회보험료 총액 산출 → 연간 납부보험료 ÷ 증가 인원 수
    • 기업 규모·지역별 기준 초과 여부 확인 • 중소기업(수도권) ≥ 700만원, 지방 ≥ 770만원 • 중견기업 ≥ 450만원 • 대기업 ≥ 400만원 위 기준을 만족하면 고용증가인원 1인당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대상이 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고용증가인원 세액공제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청년정규직·장애인·60세 이상 근로자에 대한 세액공제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고용증가인원 세액공제와 두루누리 지원사업은 중복 적용이 가능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