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금액이 확정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이며 회계 처리에 어떻게 적용되나요?
2025. 8. 26.
오류금액이 ‘확정’된다는 것은 회계연도에 발생한 오류가 다음 연도에 자동으로 상쇄돼 최종적으로 조정될 금액이 확정된다는 뜻입니다. 즉, 오류를 별도로 수정할 필요 없이 다음 회계기간에 자동조정이 이루어져 전·후 연도의 손익이 서로 상쇄됩니다.
- 오류가 발생한 연도(예: 2024년)에는 해당 금액이 과대·과소 계상된 채로 재무제표에 반영됩니다.
- 다음 연도(예: 2025년)에 실제 발생액과 차이가 확인되면 자동조정 항목으로 차감·가산 효과가 발생해 전·후 연도의 오류 금액이 서로 상쇄됩니다.
- 결과적으로 두 연도를 합산하면 오류 금액이 0이 되며, 이를 ‘금액이 확정’된 것으로 봅니다.
- 회계처리 측면에서는 별도의 수정분개를 하지 않고, 다음 연도 손익계산서에 자동조정 손익(전기오류수정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중대한 오류인 경우에는 전기이월이익잉여금을 조정하고 비교재무제표를 재작성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자동조정 오류와 비자동조정 오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전기 오류가 발견되면 재무제표는 어떻게 소급 재작성하나요?
재고자산 과대계상이 손익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