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3800만원을 13개월로 나누어 월급을 계산하고, 매 4개월마다 1개월분 월급의 1/4을 상여금으로 지급할 경우, 상여금이 지급되는 월과 지급되지 않는 월의 세후 금액은 얼마인가?

    2025. 9. 27.

    연봉 3,800만원을 13개월로 나누면 한 달 기준 급여(세전)는 38,000,000 ÷ 13 ≈ 2,923,077원이 됩니다.

    ① 상여금이 없는 월

    • 기본 급여 : 2,923,077원
    • 4대 보험·소득세·지방소득세(※소득세법·국민연금법·건강보험법·고용보험법 적용) :
      • 국민연금 4.5% → 131,538원
      • 건강보험 3.54% → 103,462원
      • 장기요양보험 0.459% → 13,424원
      • 고용보험 0.90% → 26,308원
      • 소득세 2.78% → 81,231원
      • 지방소득세 0.278% → 8,123원
    • 총 공제액 ≈ 364,086원
    • 세후 실수령액 ≈ 2,923,077 – 364,086 = 2,558,991원 (≈ 2,559,000원)

    ② 상여금이 지급되는 월 (매 4개월마다 1개월분 급여의 ¼을 상여금으로 지급)

    • 상여금 = 2,923,077 ÷ 4 ≈ 730,769원
    • 총 급여(세전) = 2,923,077 + 730,769 = 3,653,846원
    • 동일 비율로 공제 적용 →
      • 국민연금 4.5% → 164,423원
      • 건강보험 3.54% → 129,236원
      • 장기요양보험 0.459% → 16,777원
      • 고용보험 0.90% → 32,884원
      • 소득세 2.78% → 101,539원
      • 지방소득세 0.278% → 10,154원
    • 총 공제액 ≈ 455,013원
    • 세후 실수령액 ≈ 3,653,846 – 455,013 = 3,198,833원 (≈ 3,199,000원)

    따라서

    • 상여금이 없는 월 : 약 2,559,000원 (세후)
    • 상여금이 지급되는 월 : 약 3,199,000원 (세후) 입니다.

    ※ 위 계산은 2025년 기준 4대 보험·소득세·지방소득세 비율을 기존 12개월 기준(연봉 3,800만원)에서 비례 적용한 추정값이며, 실제 금액은 개인별 공제 항목·가족·비과세소득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연봉 3,800만원을 12개월로 나눌 때 월급과 세후 금액은 어떻게 되나요?
    연봉 3,800만원을 2번 상여금으로 나눠 지급하면 세후 실수령액은 어떻게 변하나요?
    4대 보험료는 연봉에 따라 어떻게 계산되는지 구체적인 비율을 알려주세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도서인쇄비는 무엇인가요?

    지역가입자의 해외주식 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면 과세 대상이 되나요?

    지역가입자의 세액공제 한도는 얼마입니까?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