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제조업에서 원재료와 상품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2025. 10. 1.

    의류 제조업에서 원재료와 완제품(상품)을 구분하는 핵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리·화학적 변형 여부 – 원재료가 물리적·화학적 작용을 받아 성질이 달라져 새로운 의류가 될 경우 ‘제조업’에 해당하고, 이는 원재료가 아닌 완제품(상품) 으로 봅니다. 반대로 단순히 선별·포장·재포장 등 본질적 성질이 변하지 않는 경우는 제조활동이 아니며, 원재료 그대로 유지됩니다.

    2️⃣ 최종 제품에 남는 형태 – 원재료가 최종 의류에 그대로 남아(예: 원단, 부자재)라면 원재료로 표시해야 하며, 원재료가 완전히 변형·가공돼 새로운 형태(예: 재단·봉제된 의류)로 나타나면 상품으로 간주합니다.

    3️⃣ 라벨·표시 의무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바)목에 따라, 원재료의 제조원을 허위로 표시하거나 실제와 다른 제조원을 표기하면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부정경쟁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원재료와 상품을 정확히 구분해 라벨에 표시하는 것이 법적 의무입니다.

    이러한 기준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서 정의한 제조업(원재료에 물리·화학적 작용을 가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산업활동)과 부정경쟁방지법의 표시 규정에 근거합니다.

    지수회계법인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의류 제조업에서 외주가공(수탁가공)과 직접 제조의 세무상 차이는 무엇인가요?
    의류 제품에 사용된 원재료를 라벨에 표시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요건은 무엇인가요?
    제조업과 도소매업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이며, 세무 신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손택스에서 체납된 세금을 바로 납부할 수 있나요?

    100만원 초과 금액으로 구매한 가구는 어떻게 감가상각해야 하나요?

    플랫폼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대행하지 않을 경우 전자상거래 사업자는 직접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하나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