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신고 대상자 소득금액 10% 이상 시 성실확인비용 세액공제 전액 추징으로 3년간 공제받지 못하며, 월세 교육비 또한 전액 추징으로 3년간 공제받지 못하는 것이 맞는지?
안녕하세요. 법무 및 세무 전문가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성실신고 대상자가 성실신고 확인 비용 세액공제 또는 월세, 교육비 세액공제와 관련하여 추징되는 경우는 특정 조건에 해당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에서 언급하신 '소득금액 10% 이상 시 전액 추징 및 3년간 공제 불가'와 '월세, 교육비 전액 추징 및 3년간 공제 불가'는 일반적인 규정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성실신고 확인 비용 세액공제 관련: 성실신고 확인 비용 세액공제는 성실신고 확인에 직접 사용한 비용의 60%를 공제받을 수 있으며, 개인사업자는 최대 120만원까지 공제 가능합니다. 만약 성실신고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후 과소신고 등으로 인해 수정신고 또는 경정결정이 이루어질 경우, 이미 공제받은 세액공제액이 추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소득금액의 10% 이상 여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보다는, 성실신고 의무 불이행이나 신고 오류 등에 따른 결과입니다.
월세 및 교육비 세액공제 관련: 월세 세액공제는 종합소득금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적용되며, 교육비 세액공제 역시 지출 요건 등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세액공제 항목들이 추징되는 경우는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 부정행위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경우: 세법 규정을 위반하거나 허위로 공제를 신청한 경우.
- 일정 기간 내 재차 위반 시: 과거에 세법 위반으로 추징받은 사실이 있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세액공제 적용이 배제되거나 추징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서 언급하신 '3년간 공제받지 못한다'는 규정은 특정 세법 위반에 대한 가산세 또는 공제 배제 기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상황이라기보다는 구체적인 위반 내용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정확한 내용은 납세자의 구체적인 상황과 세법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안내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