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월급 300만원을 세후 금액으로 직접 지급하는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려줘.

    2025. 10. 30.

    직원에게 월급 300만원을 세후 금액으로 직접 지급하시려면, 먼저 세전 급여액을 산정한 후 해당 금액에서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그리고 4대 보험료를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계산된 실수령액이 300만원이 되도록 세전 급여액을 역산하는 방식입니다.

    세후 300만원 지급을 위한 절차:

    1. 세전 급여액 산정: 실수령액 300만원에 예상되는 공제액(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 보험료)을 더하여 세전 급여액을 역산합니다. 정확한 세전 급여액은 직원의 근로소득 원천징수 간이세액표와 4대 보험 요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국세청 홈택스 또는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 등을 통해 계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원천징수 대상 세금 계산: 산정된 세전 급여액에서 근로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계산합니다. 이는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근로소득 원천징수 간이세액표'를 참고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세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4대 보험료 계산: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료를 계산합니다. 각 보험료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며, 건강보험료의 경우 장기요양보험료가 포함됩니다.
    4. 실수령액 확인: 세전 급여액에서 계산된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 보험료를 모두 공제한 금액이 300만원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계산된 실수령액이 300만원보다 적거나 많다면, 세전 급여액을 조정하여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5. 급여 지급 및 신고: 최종적으로 확정된 세전 급여액에서 공제액을 제외한 실수령액 300만원을 직원에게 지급합니다. 지급일이 속하는 다음 달 10일까지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하여 신고하고, 원천징수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6. 지급명세서 제출: 해당 연도의 급여 지급 내역에 대한 지급명세서를 다음 해 3월 10일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직원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 간이세액표는 어떻게 활용하나요?
    4대 보험료는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며, 사업장과 직원의 부담 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급여 지급명세서 제출 기한과 제출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비과세 항목(식대, 자가운전보조금 등)은 급여 계산 시 어떻게 적용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